경릉 (조선 덕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릉은 조선 덕종 의경세자와 그의 부인 소혜왕후 한씨의 능이다. 의경세자는 세조에 의해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요절하였고, 소혜왕후는 연산군 때 승하하였다. 경릉은 일반적으로 왕릉의 배치 원칙과 달리 소혜왕후가 상좌인 우측에 안장되었는데, 이는 소혜왕후가 대왕대비로서 승하한 신분적 차이 때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무덤 - 희릉 (조선)
희릉은 조선 중종의 왕비로, 인종을 낳았으나 산후병으로 사망했으며, 현재 경기도 고양시에 능이 위치해 있다. - 고양시의 무덤 - 홍릉 (정성왕후)
본문 내용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조선 덕종 - 연산군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은 초기 국방 강화와 빈민 구제에 힘썼으나,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키고 폭정을 자행하여 폐위된 후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폭정, 한글 탄압, 사찰 훼손, 방탕한 사생활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 덕종 - 귀인 윤씨
귀인 윤씨는 세조의 며느리이자 덕종의 후궁으로, 덕종 사후 숙의에 책봉되었다가 귀인에 봉해졌으며, 그녀에 대한 세조의 과도한 은혜 기록이 무오사화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고양시의 문화유산 - 서오릉
서오릉은 조선 왕실의 왕릉군으로, 경릉, 창릉, 익릉, 명릉, 홍릉 등 5기의 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순창원, 수경원, 대빈묘도 포함되어 있다. - 고양시의 문화유산 - 서삼릉
서삼릉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왕실의 능원이며, 희릉, 효릉, 예릉 등의 능과 원, 묘 등이 있으며 일부 구역은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경릉 (조선 덕종)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2번지 |
종류 | 사적 |
지정 번호 | 사적 198호 |
지정일 | 1970년 5월 26일 |
상세 정보 | |
이름 | 고양 서오릉 (高陽 西五陵)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문화재청 |
면적 | 1,870,267m2 |
참고 | 서오릉 |
문화재청 ID | 13,01980000,31 |
2. 경릉의 조성
경릉은 세조의 맏아들 의경세자와 그의 부인 인수대비의 능이다. 의경세자는 1457년에 요절하였고, 풍수지리설에 따라 길지로 추천된 현재의 위치에 안장되었다. 이후 인수대비 소혜왕후 한씨도 1504년 연산군 10년에 승하하여 오른쪽 언덕에 안장되었다.[1]
2. 1. 의경세자
1438년 9월 15일 수양대군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1455년 계유정난으로 집권한 세조에 의해 세자에 책봉되었지만, 1457년에 요절하였다.[1]3. 우상좌하 원칙과 경릉
조선 시대 왕릉은 보통 '우상좌하' 원칙에 따라 배치되었다. 이는 누워있는 시신을 기준으로 오른쪽(우측)에 왕을, 왼쪽(좌측)에 왕비를 모시는 것을 의미한다. 살아있을 때는 앉은 사람을 기준으로 왼쪽이 상석이지만, 죽은 후에는 반대라고 여겼기 때문이다.[1]
경릉은 이러한 원칙과 달리 소혜왕후가 상좌인 우측에 안장되어 있는데, 이는 의경세자가 세상을 떠날 당시 세자 신분이었던 반면, 소혜왕후는 왕실 최고 어른인 대왕대비였기 때문이다. 즉, 군신 관계에 따라 소혜왕후가 더 높은 위치에 있었다.
3. 1. 우상좌하 원칙
본디 왕릉을 쓸 때는 누워있는 시신을 기준으로 우측에 왕을, 좌측에 왕비를 안장한다. 살아있을 때는 좌측(앉아있는 사람 기준)이 상석이니 죽으면 그 반대라고 여겼던 것이다.[1] 경릉은 부인인 소혜왕후가 상좌인 우측에 안장되어 있다. 이것은 승하할 당시의 신분 차이 때문인데, 의경세자의 경우는 세자의 신분이었지만 소혜왕후의 경우는 왕실의 최고 어른인 대왕대비로서 승하했기 때문에 군신 관계에 따라 위가 되는 것이다. 능상의 석물 또한 문인석만을 갖춘 의경세자와는 달리 소혜왕후의 경우 무인석까지 갖추고 있다.3. 2. 군신관계에 따른 예외
경릉은 부인인 소혜왕후가 상좌인 우측에 안장되어 있다. 이는 승하 당시 신분 차이 때문인데, 의경세자는 세자의 신분이었지만 소혜왕후는 왕실의 최고 어른인 대왕대비로서 승하했기 때문에 군신 관계에 따라 위가 되는 것이다. 능상의 석물 또한 문인석만을 갖춘 의경세자와는 달리 소혜왕후는 무인석까지 갖추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